[1번지이슈] 한일중, 정상회의 정례화…"한반도 안정, 공동 이익"<br /><br /><br />오늘 서울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, 윤석열 대통령과 일본 기시다 총리, 중국 리창 총리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<br /><br />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'임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,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 한중,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오늘 오전 한국과 중국, 일본 정상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한중일 정상이 함께 모여 회의를<br />한 건 2019년 12월 이후 4년 5개월 만인데요. 우선 3국 정상회의를 정례화하고 3국 협력의 제도화를 추진하기로 했죠?<br /><br /> 한일중 공동선언문에 3국 공통으로 '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'임을 재확인했고요. 윤 대통령은 "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"고 밝혔습니다. 북한의 비핵화 관련 문구가 어느 정도의 수위로 담길 지가 관심이었는데요?<br /><br /> 올해는 3국 협력 25주년을 맞는 해인데요. 윤 대통령은 3국 정상회의가 정상화됐다며 한일중 협력체제가 앞으로 더욱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밝혔습니다. 교수님께서는 이번 한일중 회담, 어떻게 평가하십니까?<br /><br /> 어제는 한일 회담이 열렸습니다.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게 '라인야후' 사태를 먼저 화제로 꺼냈다고 하는데요. 윤 대통령이 '한일 외교 관계와 별개'라고 강조한 부분, 어떻게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윤 대통령은 중국 리창 총리와도 회담을 가졌습니다. 한중 정상은 경제통상 협력을 확대하고 한중 외교 안보 대화를 신설한다고 밝혔는데요. 특히 어떤 내용에 주목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리창 총리는 회담에 앞서 윤 대통령에게 시진핑 주석의 안부를 전했다고 하는데요. 이 자리에서 시주석의 방한이나 윤 대통령의 방중은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10년째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시 주석의 방한,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어제 대통령실에서 회담을 마친 후 윤 대통령이 리 총리를 배웅했는데 마침 비가 내렸죠. 윤 대통령이 이 자리에서 두보의 시 '춘야희'를 언급했다고 하는데요. 봄밤의 내리는 기쁜 비라는 뜻인데요. 중국 외교가에서는 이렇게 한시를 이용해 우호를 다지는 발언을 각별하게 생각한다고 하는데, 앞으로 한중 관계 어떻게 전개될까요?<br /><br /> 오늘 한일중 정상회의를 앞두고 북한이 또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로켓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일본에 통보했습니다. 오늘부터 다음 달 4일 사이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을 발사하겠다는 내용인데요. 오늘 새벽에 이런 내용을 일본 정부에 통보한 건, 회의에 대한 반발로 봐야겠죠?<br /><br />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2호기 발사를 예고한 만큼 실제 발사가 언제 이뤄질지도 주목됩니다. 지난해 3차례 정찰위성 발사는 모두 예고기간 첫날이나 그 직전에 이뤄졌는데요. 예고기간 첫날인 오늘 발사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한 데 대해 윤 대통령은 국제 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강조했고요. 기시다 일본 총리는 북한에 대해 강력한 중지를 요구한다고 밝혔습니다. 그런데 리창 중국 총리는 북한 도발과 관련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. 중국의 온도차 느껴지는데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